반응형
SMALL

.substr( n , l )


문자열에서 특정 부분만 골라내어 가져오는 메소드.

시작 인덱스번호 n부터 l만큼의 길이를 가져온다.

l은 생략이 가능하다. l이 없다면 문자열 끝까지 가져옴.


  
var str = new String("Made In Korea");
document.write( str.substr(8,3)+"<hr>"); // 8번부터 3개까지 가져와라

  
Kor

 

.substring( n , m )


문자열에서 특정 부분만 골라내어 가져오는 메소드.

시작 인덱스번호 n부터 끝나는 인덱스번호 m까지를 가져온다.

m은 생략이 가능하다. m이 없다면 문자열 끝까지 가져옴.


  
var str = new String("Made In Korea");
document.write( str.substring(8,11)+"<hr>"); // 8번이후부터 11번 이전까지 가져와라

  
Kor

<주의>substr과 substring은 인수가 하나만 있다면 동일한 결과를 가져오므로 주의할 것!

 

.split( n, l )


문자열을 분할하는 메소드.

n을 분할 기준으로 l의 갯수만큼 분할한다.

l은 생략이 가능하다. l이 없다면 문자열 전체를 다 분할함.


  
var str = new String("Made In Korea");
document.write( str.split(' ' , 3) + "<hr>" );

  
Made,In,Korea

리턴값은 Array 인 것 주의!

반응형
LIST
반응형
SMALL

.replace( n1 , n2 )


특정 문자열을 찾아 복사 후 다른 문자열로 바꾸는 메소드.

n1을 찾아 n2로 바꿈.

<주의> 복사 후 바꾸었기 때문에 String 객체 소유의 문자열에는 변화가 없다.

(출력값만 바뀜)


  
var str = new String("Made In Korea");
document.write( str.replace("korea","USA")+"<hr>");

  
Made In USA

 

<cf>String 객체 원본 문자열에서 Korea 문자열을 USA로 바꾸려면?


  
str = str.replace("Korea", "USA");
document.write( str + "<hr>" );

 

.toUpperCase( n )


String 객체 소유의 문자열 n을 복사해서 대문자로 바꾸어 출력하는 메소드.

한글/한자/기호 등은 대소문자가 없기 때문에 변환되지 않고 그대로 출력.

<주의> 복사 후 바꾸었기 때문에 String 객체 소유의 문자열에는 변화가 없다.


  
var str = new String("Made In Korea");
document.write( str.toUpperCase() + "<hr>" );

  
MADE IN USA

 

.toLowerCase( n )


String 객체 소유의 문자열 n을 복사해서 소문자로 바꾸어 출력하는 메소드.

한글/한자/기호 등은 대소문자가 없기 때문에 변환되지 않고 그대로 출력.

<주의> 복사 후 바꾸었기 때문에 String 객체 소유의 문자열에는 변화가 없다.


  
var str = new String("Made In Korea");
document.write( str.toLowerCase() + "<hr>" );

  
made in usa

 

반응형
LIST
반응형
SMALL

.indexOf( v , n )


특정 문자열이 처음으로 나타나는 위치를 반환하는 메소드.

찾으려는 문자열 v을 인덱스 n 이후에 처음 나오는 v의 인덱스 값을 반환함.

인덱스 n을 입력하지 않으면 처음부터 검색한다.

(대소문자 구분함. 찾는 문자열이 없을 경우 -1  반환)


  
var str = new String("Made In Korea");
document.write( "출력값 : " + str.indexOf("K")+"<hr>");
document.write( "출력값 : " + str.indexOf("k")+"<hr>"); //대소문자 구분
document.write( "출력값 : " + str.indexOf("a")+"<hr>"); //2개 이상일 경우 첫번째 자리 출력
document.write( "출력값 : " + str.indexOf("a",3)+"<hr>"); //인덱스번호 3번 이후로 검색

  
출력값 : 8
출력값 : -1
출력값 : 1
출력값 : 12

 

<예제>kor이란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다면 "한국제품"이라는 문자열 출력하기


  
if(str.indexOf( "kor" ) >= 0) {
document.write( "한국제품" );
}

  
한국제품Made In Korea

 

.lastIndexOf( v , n )


특정 문자열이 마지막에 나타나는 위치를 반환하는 메소드.

찾으려는 문자열 v을 인덱스 n 까지 검색한 후 v의 인덱스 값을 반환함.

인덱스 n을 입력하지 않으면 끝까지 검색한다.

(대소문자 구분함. 찾는 문자열이 없을 경우 -1  반환)


  
var str = new String("Made In Korea");
document.write("출력값 : "+ str.lastIndexOf( "a" , 7 )+"<hr>");
document.write("출력값 : "+ str.lastIndexOf("a" , 12 )+"<hr>");

  
출력값 : 1 //made의 a
출력값 : 12 //korea의 a

 

반응형
LIST
반응형
SMALL

.charAt( n )


특정 위치에 있는 문자를 반환하는 메소드.

인덱스번호가 n 인 문자를 반환함.

만약 인덱스 n에 문자가 없다면 빈 문자열을 반환한다.


  
var str = new String("Made In Korea");
document.write("출력값 : " + str.charAt(8)+"<hr>");

  
출력값 : K

 

.charCodeAt( n )


특정 위치에 있는 문자의 유니코드 값을 반환하는 메소드.

인덱스번호가 n 인 문자의 유니코드 값을 반환함.

만약 인덱스 n에 문자가 없다면 NaN을 반환한다.


  
var str = new String("Made In Korea");
document.write( "출력값 : "+ str.charCodeAt(8)+"<hr>");

  
출력값 : 75

 

 

반응형
LIST
반응형
SMALL

+ Recent posts

반응형
LIST